보통사람을 위한 생존법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
살다보면 꼭 한번은
재수가 좋든지 나쁘든지
천재를 만나게 된다
대다수 우리들은 이 천재와 경쟁하다가
상처투성이가 되든지 아니면 자신의 길을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평생 주눅들어 살거나
아니면 자신의 취미나 재능과는 상관없는
직업을 가지고 평생 모가본 길에 대해서
동경하며 산다
이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추월할 수 없는
천재를 만난다는 것은 끔찍하고 잔인한 일이다.
어릴때 동네에서 그림에 대한 신동이 되고
학교에서 만화에 대한 재능을 인정받아
만화계에 입문해서 동료드를 만났을때
내 재능이 도토리 키재길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그 중에 한두명의 천재를 만났다.
나는 불면증에 시달리 정도로
매일매일 날밤을 새우다시피 그림을 그리면 살았다.
내 작업실은 이층 다락방이었고
매일 두부자웃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그제야 쌓인 원고지를 안고 잠들곤 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한달 내내 술만 마시고 있다가도
며칠 휘갈겨 가져오는 원고로
내 원고를 휴지로 만들어 버렸다.
나는 타고난 재능에 대해 원망도 해놓고
보고
이를 악물고 그 친구와 경쟁도 해봤지만
시간이 갈 수록 내 상처만 커져갔다.
만화에 댛ㄴ 흥미가 없어지고
작가가 된다는 생각은 점점 멀어졌다.
내게도 주눅이 들고 상처입은 마음으로
현실과 타협해서 사회로 나가야 될 시간이 왔다.
그러나 나는 만화에 미쳐있었다
새학기가 되면 이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꼭 강의한다.
그것은 천재들과 절대로
정면승부하지 말라는 것이다.
천재를 만나면 먼저 보내주는것이 상책이다.
그러면 상처입을 필요가 없다.
작가의 길은 장거리 마라톤이지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첝들은 항상 먼저 가기 마련이고
먼저 가서 뒤돌아보면 세상살이가 시시한 법이고
그리고 어느날 신의 벽을 만난다.
인간이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신의 벽을 만나면
천재는 좌절하고 방황하고 스스로를 파괴한다.
그리고 종내는 할일을 잃고 멈춰 서 버린다.
이처러 천재를 먼저 보내놓고
10년이든 20년이든 나는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꾸준히 걷다보면
어느날 멈춰버린 그 천재를 추월해서
지나가는 자신을 보게된다.
산다는 것은 긴긴세월에 걸쳐하는
장거리 승부지 절대로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만화를 지마아는 학생들은 그림을 잘 그리고싶엏ㄴ다.
그렇다면 매일매일 스케치북을 들고
10장의 크로키를 하면 된다.
1년이면 35000장
10년이면 3만 5000장의 포즈를 잡게 된다.
그 속에는 온갖 인간의 자세와 패션과 풍경이 있다.
한마디로 이 세상에서 그려보지 않은 것은
거의 없는 것이다.
거기에다 좋은글도 쓰고싶다면
매일매일 일기를 쓱고 메모를 하면 된다.
가장 정직하게 자신의 내면세계를 파고들어
설득력과 온갖 상사의 아이디어와 줄러리를 갖게된다.
자신만이 경험한 가장 진솔한 이야기는
모두에세 감동을 준다,
만화가 이두호 선생님은 항상
"만화는 언덩이로 그린다"라고
후배들에게 조언한다.
이 말은 언제나 나에게 감동을 준다.
평생 작가오서 생활하려면
지치지 않는 집중려과 지구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가끔 지구력 잇는 천재도 있다.
그런 존재는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축복이고
보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그런 천재들은 너무나 많은 즐거움과
혜택을 우리에게 주고 우리들의 갈길을 제시해준다.
나는 그런 천재들과 동시대를 산다는 것만 해도
가슴 벅차게 행복하다.
나같은 사람은 그저
잠들기 전에 한 장의 그림만 더 그리면 된다.
해 지기 전에 딱 한걸음만 더 걷다보면
어느날 내 자신이 바라던 모습과 만나게 될것이다
그것이 정상이든 산중턱이든
내가 원하는 것은 내가 바라던 만큼만 있으면 되는 것이다.
------------------------------------------------------------------------------------------
그러나 어른의 세계는 복잡하다
갇혀진 환경에서 내가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남이 나를 어떻게 볼것인가에 집착하다가보니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가 힘들다. 결국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목줄을 한 동물과 같은 신세가 돼버려 야성의 DNA가 시든다.
자연의 동물은 배가 고프면 스스로 먹을것을 찾아다니지만 묶여진 동물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 배고프면 밥 달라고 짖거나 얌전히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사람도 행동과 생각의 폭이 좁아지면 야성이 위축돼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힐리에 매달리게된다.
스트레스가 심할때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히 스트레스의 원인을 없애는 것이다. 하지만 그럴 수 없는 문제가 대부분이다. 그럴때는 멀리 갈 것도 없다. 어린시절의 자신의 담대했던 모습을 떠올리자.
사람의 DNA속에는 기본적으로 독립에 대한 의지, 자유에 대한 의지, 어려움에 봉착했을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돌파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보호는 이름으로 경쟁이라는 이름으로 이 사회거 꽁꽁 묶어놓았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