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드워즈


구글광고가 나갈 수 있는 위치

CPC기반

검색네트워크-Consideration
디스플레이네트워크-매우 넓다

페이스북은 한번 광고하면 제대로 계속관리

구글 애드워즈는 기본적으로 2주이상 학습기간
애드워즈 추천-->변경-->추천-->변경-->추천-->변경-->추천-->변경-->추천-->변경.......
광고 변경하면 구글은 계속 학습만 한다.

경매원리

입찰가+품질

Ad Rank 

점수
광고순위
게제순위-광고가 보이는데 몇번째로 보이나

Formats 포맷 

기본이 아닌 추가 영상등 광고확장일때  점수가 높아짐

Quality Score 품질

1.기대클릭율
기대클릭율이 높은 광고가 품질이 높다.
광고내용이 안좋은거은 광고주책임인지만 타겟팅이 맞냐 아니냐는 구글의 책임-->추천을 바로바로 변경해줘야한다.

2.광고관련성
유저가 원하는 키워드+광고주가 원하는 광고+랜딩페이지
유제제시 키워드,광고주의 타겟팅, 랜딩페이지
모든 광고는 스쳐지나간다. 모든 광고에는 키워드
주목을 할 수 밖에 없게 직접적 제시
랜딩페이지는 종합페이지로 하면 품질 저하

3. 방문페이지 만족도
유저가 그 페이지에서 얼마나 머물렀는지 보이는 반응 분석
만족도 높이기 위해 서는 속도, 스크롤,그 키워드제품이 없다(매칭이 되나 안되나)


게제위치(유저눈이많이 가는 위치)마다 경매가 따로 광고순위 1등만 나간다.
게제순위를 높여야 된다==잘보여야한다.
예산
입찰가
낙찰가

구글애즈워드 메뉴
개요
추천-모조건 적용
캠페인
광고그룹
광고 및 확장
방문페이지-클릭하면 가는곳. 실적을보여준다

캠페인초안 및 실험
구체적인 변경을 하기 전에 우리의 의견을 제시 하면 기초적인 실험 샘플로 돌려보는 것

캠페인이 늘어나는 구조

구글 애드워즈는 페이스북, GA등등 모든 채널의 요소들을 가져올 수 있다.
애드워즈는 UI 가 정해져있다.--> 동영상광고가 나간다.. 안나간다
광고를 기본적으로 만들수는 있지만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광고 옵션이나 다양한 형태가
동영상 자체에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유투브에서 하는것이 다양한 형태가 나온다.
유튜브에 이미지 광고는 디스플레이캠페인에서 만든다.
동영상인지 이미지인지 광고소재의 문제이다.
현재 쇼핑캠페인은 우리나라에서 지금은 안되고 내년에 된다고 함.
상품명이 바로 나온다--> 디바이스를기반으로 --> 결제된 이력이 있는 사업자위주로

검색네이트워크> 디스플레이네트워크
쇼핑캠페인은 판매자센터에 제품을 올려놓고 링크(페이스북샵기능)연결--> 랜딩페이지--> 아마존 상품페이지로 이동(대부분이)
구글이 구글쇼핑에서 쇼핑캠페인에서 랜딩페이지가 아마존일 경우 후순위로 보여진다
구글 VS 아마존
쇼핑캠페인에서 아마존으로 랜딩 페이지로 하면 불이익

앱을 깔게 하는 형태의 광고는 유니버셜 앱형태가 가장 좋다.

쇼핑이나 유니버셜앱은 구글이 알아서 해준다.
디스플레이나 동영상은 소재의 차이
검색캠페인-복잡하고 어려움

디스플레이캠페인

목적선택
기본적으로 마케팅 퍼널단계를 고르게 하는 거다.
판매>리드>웹사이트트레픽>제품 및 구매고려도 >브랜드인지도

웹사이트트레픽

표준디스플레이
스마트디스플레이-시간이 지나서 학습이 된 경우 알아서  아무것도 설정안해도 구글이 알아서 해준다.
G메일디스플레이

캠페인 만들기

캠페인날짜는 중요하지않다.
캠페인분류는 기본적 되어 있어서 안해도 된다






캠페인이름에 꼭 포함되어야 하는것
제품명
사람을 타겟으로하느냐 지면으로 타겟으로하느냐 중요
인지도를 목적으로 하는지, 전환을 목적으로 하는지
인지도가 CPC 높을 경우 빨리 수정
페이스북의 광고는 대부분 모바일
구글애드워즈는 모마일, PC 전반적으로 소비된다.
사람들의 행동패턴이 모바일과 PC가 엄청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Mbile 과 PC 구분요소 포함해야한다

위치-위치에 있거나 위치에 관심이 있는 사람포함
추가설정에 위치 옵션에서 그 지역에 있는 사람 만 설정 할 수 있다.


CPM은 왠만하면 안해야한다.
웹사이트에 안보이는 페이지에도 나오기 때문에(페이스북광고에서)
할 이유나 필요가 없다

수동CPC-good-->향상된 CPC입찰가 추가
내가 상한선 정하고 애드워즈기 선택할수 있게
경력이 쌓이고 기준선을알고 있으면 한명당 입찰가를 알고 있으면  수동 CPC선택

클릭수최대화-smart
결국 우리는 클릭수최대화를 선택 할 수 밖에 없다.
예산설정은 하루 예산에 맞게
게제방법는 무조건 표준

추가설정-->기기-->특정기기타겟팅설정
유튜브광고는 무조건 모바일앱 포함

추가설정-->콘텐츠제외



광고그룹에서 타겟팅 설정

애드워즈타겟팅은 조합하는거다

1.인구통계(사람)

나이, 성별, 연령...

2.잠재고객(사람)

관심분야
-평소선호,행동패턴
-디바이스로 추적했을때 -->모든 행동
-디바이스로 파악할 수 있는 모든것

관심분야 잠재고객-구글이 알아서 카테고리 구분
카테고리로 제공되는내용이 너무 넓으면
맞춤관심분야 잠재고객 만들기
4가지요소(관심분야, URL, 장소, 앱)
원하는 키워드 원하는 문장으로 아주 자유롭게 쓴다.
페르소나 분석 정의한 내용을 여기에 사용한다.



구매의도
-최근 무엇을 탐색하는가
-탐색활동으로 무엇을 했는가
-뭔가를 사기위한 행동을 한것이 감지됨

특정한 생의 이벤트 상황의 사람들을 타겟팅할 수있다.


리마케팅
-상호작용이 있는 유저공략
-이 광고주랑 어떤식으로든 상호작용이있었음
-통합된 잠재고객은 애드워즈가 알아서 해준다
-고객목록
-웹사이트방문자
-유사 잠재고객-애드워즈가 알아서  만들어준다.(관심분야나 구매의도의 정보로)

유사-페이스북과는 기준이 다르다. 프러파일링으로 유사함 판단한다.
통합관리자를 통해서 정보를 넘겨받아야한다.--> 타겟팅 명확
시드가 될 수있는 관심사가 약하다
구글은 정치뉴스를 많이 보는것 알지만 진보인지 보수인지 판단 못한다.
페이스북은 진봉니지 보수인지 판단가능-->사회적관계망은 페이스북이 강하다.

3.디스플레이네트워크(광고가 보여지는 위치,지면)

키워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한 콘텐츠
-정말그 키워드를포함함
-제외를 하려고 존재, 같이 나오면 안되는 단어나 지면을 위해 설정해야한다.
-제외키워드 설정

주제
-특정 주제를 다루는 웹, 앱
-키워드가 없어도

게제위치
-광고 노출 위치 지정
-구체적 위치 지정







자동 타겟팅

보수적 자동화(디폴트)
-비슷한 타겟이 있으면 포함하겠다

공격적 자동화
-비슷한 타겟이 있는데 비슷한 퍼센트는 낮지만 반응을 할 타겟한테도 할꺼냐
-성과를 최적화하지만 예산을 더 쓰거나 타겟팅 방향이 다르게 갈 수도 있다.



구체적인 페르소나가 있으면 페이스북타겟팅으로 해서 GDN로 갖고 와야한다
push 채널은 플랫폼간의 서로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타겟팅하고 광고 요소를
GDN로 모아야한다.


광고 만들기

기본은 반응형광고로 한다.

728x90
336x280
300x250
300x600
320x100

2배수  728x 90  1456x180  로 배너로 만들면 약 70%이상 자동
이미지 150kbyte

광고승인기준

클릭유도버튼이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버튼은 안된다
텍스트 아무리 많아도 상관없다.
광고주 정보가 필수
구체적인 제품명이 필수이지만 
ex)'홍콩'여행일 경우 승인, '디지털마케팅 실무 마스터'일 경우 비승인 
브랜드나 이미지 광고는 안된다. 광고관련성 떨어진다.
가격이 있어도 없어도 상관없다
무료가 아닌데 FREE 표현 안된다.
소비자 만족도 5년 연속 1위 --->구글에 서류제출해야한다
거짓은 절대 안된다.
소비자 기만하는 모든 광고는 안된다.
구글은 기본적으로 거짓말이라고 생각하고 참인것을 증명하라고 한다. 광고를 보는 사람은 광고를 스쳐본다고 생각하고 광고를 봤을때 헷갈리지 않게만들어야한다.


잠재고객관리자와 연결된 계정으로 통합관리를 한다.

성과를 올리는 계획


성과가 좋은지 안 좋은지 판단을 어떻게 하는가

판단기준은?

페이스북광고는 판단 할수도 없고 기준도 없다

CPC 낮춰야해-->CPC 변동하면 구글은 계속 학습만 한다.

어떻게 알 수있어?

경쟁상대들에 비해 나의 위치를 파악한다.


광고성과관리

항목수정
항목수정 아래쪽에 경쟁통계-->8가지 항목
경쟁-나랑 같은 제품을 팔고있는 광고주, 같은 제품이 아니라도 타겟팅이 겹치는 경우
데이타 모두 종합하여 예상 점수를 만든다.

노출점유율
애드워즈가 예상과 기대값을 생성하고 기대대상들중에 상위 몇% 이상 기준점을 잡는다. 기대하는 수준에 비해서 실제 광고노출을 해냈느냐
세계 평균 50% 우리나라는 10%
노출점유율은 올려야한다.

상실노출점유율(예산)
돈이 있었으면 광고 노출 되었을꺼다

상실노출점유율(순위)
예산은 있었으나 광고 순위가 떨러져서못나간거다...순위(점수)를 올려야한다.

상대CTR
광고 노출--> 클릭해야 하는데
경쟁자들의 광고가 50%  나는 25%일때   상대 CTR은 50% 이다.


품질높이기 3가지
1.기대 CTR-광고의 클릭- 콘텐츠 퀄리티, 잘못된 타겟팅(애드워즈가 알아서 해준다. 키워드설정을 바꾸고 캠페인과 그룹의 구조를 바꾼다.
관찰-타겟팅을 더 좁히고 싶을 때 좁힌타겟을 별도 관리
실험-타겟 자체가 다른경우)
2.광고관련성
3.방문페이지만족도-->방문페이지 실적을 올린다.


노출점유율->상실노출점유율(예산)-->예산제약기
                  상실노출점유율(순위)-->입찰가 올린다(단기적)-->장기적으로 저품질
                                             -->품질을 올린다(1.2.3.체크)


 데이터-기여모델?

애드워즈 최적화가 되어야 페이스북 광고 최적화가 된다.

검색네트워크(키워드실적up)+디스플레이캠페인(검색캠페인의 데이타로 GDN 최적화만든다.)